ISA 계좌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ndividual Savings Account (ISA)
절세를 통해 국민들의 재산형성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정부에서 제도화 시킨 상품.
ISA 계좌 종류
가입 조건은 서민형, 일반형, 농어민형으로 나뉜다.
만 19세 이상 1인 1계좌 개설 가능하지만, 금융소득과세자(2천만원 이상)은 불가하다.
납입 한도는 연 2천만원(이연 가능)이며, 5년동안 1억원까지 가능.
비과세 한도: 일반형은 200만원 / 서민형과 농어민형은 400만원
수익금은 5년간 중도 인출 불가하나, 원금은 가능하다.
단, 원금 출금한 만큼 납입한도가 줄지 않는다.
이 중 서민형 중·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금융 상품으로,
일반형에 비해 혜택과 지원이 더 많다.
- ISA 계좌 서민형 가입 조건:
- 만19세 이상 / 대한민국 거주자이며 아래의 세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된다.
- 신고 소득 없거나
- 근로소득 연 5,000만 원 이하
- 사업소득 연 3,800만 원 이하 (프리랜서 포함)
- 만 15~19세 미만의 직전연도 근로소득 있는 대한민국 거주자인 경우
- 근로소득 연 5,000만 원 이하
- 만19세 이상 / 대한민국 거주자이며 아래의 세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된다.
ISA 계좌 혜택
다양한 금융상품을 ISA 계좌 하나로 분산 투자가 가능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상품을 교체할 수 있다.
가입 유형에 따른 비과세 혜택과 저율 과세, 과세 이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 비과세 혜택:
- 특정 소득 또는 이익에 대한 세금 혜택
- 서민형: 수익 중 최대 400만 원까지
- 일반형: 수익 중 최대 200만 원까지
- 비과세 한도 초과 소득에 대한 분리과세 혜택
- 9.9%의 세율 적용.
- 참고로 일반 계좌에서의 모든 소득은 15.4%의 세율이 적용된다.
- 특정 소득 또는 이익에 대한 세금 혜택
- 자유로운 입출금 혜택:
- 내가 납입한 합계 금액 내에서는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하다.
ISA 계좌 장점
손익통산 효과
- 손익통산 효과라 하여 투자한 상품에서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합하여 그에 따른 세금을 매긴다.
- ISA계좌(서민형)에서 500만원의 이익과 90만원의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손익 금액의 합이 410만 원으로 순이익에만 과세한다.
400만원(비과세 혜택) / 10만원(한도초과분) × 9.9%
내야 할 세금은 총 9,900원이다. - 일반계좌와 비교하자면,
손익 구분 없이 500만원의 이익에 대해 과세한다.
500만원 × 15.4%
내야 할 세금은 총 770,000원이다.
- ISA계좌(서민형)에서 500만원의 이익과 90만원의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 아래의 표와 같이 이익이 커지면 커질수록 일반 계좌와의 세금 차이가 더욱 차이가 난다.
일반 상품 세금 | ISA 계좌 세금 | 차이 | |
순이익 200만원 | 308,000원 | 0원 | 308,000원 |
순이익 500만원 | 770,000원 | 297,000원 | 473,000원 |
순이익 1,000만원 | 1,540,000원 | 792,000원 | 748,000원 |
순이익 1,500만원 | 2,310,000원 | 1,287,000원 | 1,023,000원 |
순이익 2,000만원 | 3,080,000원 | 1,782,000원 | 1,298,000원 |
순이익 2,500만원 | 3,850,000 ~ 5,170,000원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금융소득종합과세(15.4%~41.8%) |
2,277,000원 | 2,893,000원 |
※ 표는 한국투자증권의 ISA 계좌에 대한 정보를 참고했다.
https://securities.koreainvestment.com/main/mall/isa/IsaGuide.jsp?cmd=TF02ef000000
납입금액 이연 기능
- 연 2,000만원(최대 1억)까지 납입 가능하다.
- 한 해의 입금액이 2,000만원이 되지 않을 경우 누적금액으로 이연된다.
- 예시1) 올해 1,000만원만 입금했을 경우, 내년에 3,000만원 입금이 가능하다.
- 예시2) 계좌 개설 후 미사용인 채로 5년 경과의 경우, 한 번에 1억 납입이 가능하다.
ISA 계좌 단점
3년의 의무가입기간이 있고,
그 전에 해지할 경우 비과세나 분리과세 혜택을 못받는다.
ISA 계좌 결론
살펴본 바로 장점이 무수한 계좌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많은 이들이 무조건 빨리 만들라고 하는 이유를 깨달았다.
비과세와 분리과세 혜택은 말할 것도 없고,
다른이 들이 단점이라 말하는 3년이라는 의무가입기간은 오히려 나에겐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이 계좌를 개설하려는 이유는 꾸준한 적립식 투자를 위한 것이니까.
게다가 총 1억원까지 5년간 이연된다는 것은 특장점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이야 시드머니가 없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커질 것이라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투자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증권 - 카뱅 쿠폰 사용하기 (3) | 2024.12.05 |
---|---|
[토스증권]주식모으기 (5) | 2024.11.09 |
ISA계좌 활용 2)ETF의 종류 세가지 (6) | 2024.11.08 |
ISA계좌 활용 1) ETF 이해 (4) | 2024.11.07 |
ISA 계좌 개설하며 궁금점 해결하기 (2)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