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기록

ISA계좌 활용 1) ETF 이해

by 리브리뷰 2024. 11. 7.

ISA 계좌 활용 방법 고민 중 알게된 정보

ISA 계좌 정보를 알아보고 개설하며 알게 된 내용...

 

증권사 계좌에서 주식, 펀드 예금 등 각각 따로 관리하지만, ISA 계좌는 통합으로 관리한다.

 

국내 상장 주식, 국내 주식형 펀드, 예금, 채권 등 국내 금융 상품에 투자할 때만 세금 혜택이 적용되고,

따라서 해외 주식 직접 투자는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국내 주식을 살까 했는데, 많은 분들이 해외 주식을 추천했다.

ISA 계좌는 국내 상품만 투자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해외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ISA 계좌로 해외주식 투자할 수 있는 방법

  1. ISA 계좌에서 간접적으로 해외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
    (ISA계좌 세제 혜택 가능) 
    •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형 펀드에 투자
    • ETF(상장지수펀드)에 투자

※ 참고로 해외 상장된 ETF 상품은 투자 불가

 

 

이 중에 ETF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ETF 이해하기

  1. ETF란,
    • ETF(Excahnged Traded Fund) - 우리말로 상장지수펀드
    • 상장된 주식의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로
    • 여러 주식을 모아 펀드처럼 운용하는 금융상품이다.
    • 지수를 따르는 인덱스 펀드의 장점과 직접 투자하는 주식의 장점을 합친 상품이다.
  2. 특징
    •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다.
    • 소액으로 우량주에 분산투자할 수 있다.(1주 단위 거래 가능)
    • 투자비용이 저렴하고 중도환매 수수료가 없다.
    • 투자 수익률에서 유리하다.
    •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다.
    • 펀드의 운영이 투명하다. (매일 기사를 통해)
    • 여러 주식을 모아 펀드처럼 운용되지만, 수수료가 매우 낮다고 한다.
      (
      펀드: 1~2% / ETF: 0.01~1% → 수수료의 예는 웹 정보라서 틀릴 수 있다.)
더보기
** 인덱스(Index 지수)란, 특정기간의 주식 시장 전반의 성과를 측정하여 사용된 지표

주가지수: 일정한 기업의 주식 가격의 평균치를 나타낸 수치
인  덱 스: 일정한 기업집단의 주식 가격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기업들의 주식가격 변화를 고려-시장의 전반적 동향 파악 가능)

주요 국가의 인덱스
한국: 코스피, 코스피200, 코스닥 지수
미국: 다우지수, S&P 500, 나스닥
일본: 니케이 255
중국: 상하이
유럽: 유로 stoxx 50, FTSE 100

 

그럼 나는, 어떤 ETF에 투자할 것인가?

이런 고민이 들어, 다음 블로그 글에 재개하기로 한다.

 

더보기

기획재정부 용어 사전 내 ETF 정의

  1. ETF: 상장지수펀드 / Exchange Traded Fund
  2.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로 만든 상품
    • 인덱스펀드: 일반 주식형 펀드와 달리 KOSPI200과 같은 시장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쫓아가도록 구성한 펀드
  3. 장점:
    • 펀드투자처럼 개인투자자가 수고스럽게 개별 주식 종목을 고르지 않앗도 된다.
    • 주식투자처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다.
  4. 인데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도움 받은 글 링크 모음>

펀드와 ETF 공부하자